좋은정보/블로그 관련 하이재니 2018. 9. 6. 02:08
안녕하세요. 오늘은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빙(Bing)은 MS(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 엔진으로 생소하게 다가오는 분들이 많으실텐데 국내에서는 네이버와 다음, 구글에 비해 점유율이 높지 않은 편이에요. 검색엔진 점유율이 높지 않더라도 티스토리 블로그 방문자 유입을 늘리기 위해서는 빙 웹마스터도구에 사이트 등록과 블로그 RSS, 사이트맵 제출은 필수적으로 해야한다고 생각해요. 윈도우10을 사용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빙(Bing)도 앞으로 점유율이 조금씩 높아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빙 웹마스터도구에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하기 위해서 빙(Bing) 웹마스터도구 사이트로 들어가서 로그인을 합니다. 로그인을 할 때 MS, 구글, 페이스북 중에 편하신 계정을 선택하면 됩니다. 빙 ..
더 읽기
좋은정보/블로그 관련 하이재니 2018. 8. 26. 00:29
# 사이트맵이란? & 사이트맵 주소 확인 사이트맵에 대한 설명과 사이트맵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된 이전글을 보시면 됩니다. 이전글·네이버에 티스토리 블로그 사이트맵 제출방법,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 사이트맵 등록 # 구글 웹마스터도구 가입 및 티스토리 블로그 소유권 확인 검색사이트에서 구글 서치콘솔을 검색합니다. 구글 서치콘솔(웹마스터도구)에 접속한 뒤 구글 아이디로 로그인 합니다. 구글 웹마스터도구에 로그인을 하면 '시작하려면 사이트나 앱을 추가하세요'라는 메세지와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웹사이트를 입력하는 항목에 내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고 [속성 추가]를 클릭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고 [속성 추가]를 클릭하면 바로 사이트 소유권 확인 페이지가 뜹니다.사이트 소유 확..
좋은정보/블로그 관련 하이재니 2018. 8. 24. 00:05
#사이트맵 사이트맵은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페이지 목록이라고 요약되며, 'site map'이라고 표기합니다. 사용자 혹은 크롤러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때 웹사이트의 접근 가능한 페이지의 목록을 말합니다. 사이트맵은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를 문류한 목록으로, 해당 웹사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전체 구조를 보여주며, 웹디자인을 계획하는 문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이트를 사용하는 사용자나 검색엔진이 자신들이 찾고자 하는 웹페이지를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사이트맵 주소 확인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 티스토리 블로그의 사이트맵을 제출하려면 내 블로그의 사이트맵을 만들어 사이트에 업로드하고 사이트맵의 주소를 확인해야 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글쓰기를 클릭한 뒤 제목을 쓰고 파일을 클릭하여 사이트맵을 첨부합..
좋은정보/블로그 관련 하이재니 2018. 8. 22. 10:57
#블로그 유입경로 사람들이 인터넷에서 검색할 때 사용하는 검색엔진은 네이버, 다음, 구글이 대표적입니다. 그 중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색엔진은 네이버입니다. 블로그 운영자는 내 블로그가 검색엔진에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많은 검색엔진에 먼저 검색등록을 합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는 입장에서 블로그 유입은 매우 중요합니다. 블로그 유입에 상관없이 취미로 한다면 괜찮지만 그렇지 않다면 블로그 유입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블로그 유입을 늘리기 위한 방법은 블로그 유입경로를 다양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위에 언급된 대표적인 검색엔진 이외의 검색사이트에도 운영하는 블로그를 등록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입니다. #ZUM(줌) 사이트 검색 등록 ZUM(줌)은 네이버, 다음, 구글과 같은 대표적인 ..
좋은정보/블로그 관련 하이재니 2018. 8. 22. 01:25
#블로그의 RSS RSS는 'Really Simple Syndication' 또는 'Rich Site Summary'의 약자로, '매우 간단한 배급' 또는 '풍부한 사이트 요약'이라고 합니다. 업데이트가 빈번한 웹사이트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다 쉽게 제공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XML 기반의 콘텐츠 배급 포맷을 말합니다. RSS는 블로그 운영자 입장에서 신규 정보나 추천 정보를 사용자에게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자가 블로그의 메인 페이지를 거치지 않고 해당 콘텐츠에 직접 접근하여 블로그에 머무는 시간이 줄어든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RSS 사용에 단점이 있지만 RSS를 사용하는 이유는 검색엔진의 검색로봇이 내 블로그 RSS를 수집하여 등록된 새글을 확인하여 검색사이트의 검색 결과에 노출되도..
좋은정보/블로그 관련 하이재니 2018. 8. 21. 23:31